Programming/Embedded C3 풀업 저항, 풀다운 저항 (Pull-up & Pull-down register) 오늘은 풀업 풀다운 저항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키패드 버튼을 제어하기 위해 GPIO 핀을 사용하다가 풀업, 풀다운 저항에 대해 알게되었다. 이 두가지를 알아보기 전에 플로팅(floating) 상태라는 것을 먼저 알아야 한다. 플로팅 (floating) 상태 MCU에서 스위치 제어를 위해 GPIO 핀을 사용한다 했을 때 이런 회로로서 한번 생각해보자. 일반적으로는 버튼을 누른다면 스위치가 닫혀 0(Low)로 될것이고 버튼을 누르지 않는 상태면 1(High)를 예상할 것이다.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Open 상태일때 High가 아닐 수가 있다. High가 될지 Low 가 될지 미지수이다. 이 상태를 floating 상태 즉, 둥둥 떠있는 상태라고 표현한다. 왜 그럴까? 회로를 보면 그라운드와 연결된 부분은 .. 2023. 2. 21. 폴링(Polling)과 인터럽트(Interrupt)란? 폴링과 인터럽트에 대해 예시와 함께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폴링과 인터럽트는 둘다 외부 신호를 받으면 그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지만 처리하는데에 방식의 차이가 있습니다. 폴링(Polling) 폴링 방식의 코드 예시를 한번 보겠습니다. int main(void){ 핀연결.. 핀연결.. 핀연결.. 핀연결.. while(1){ LED1_delay(0.5초) //LED1이 0.5초마다 깜빡거린다. if (버튼 눌리면){ LED2 작동 // 버튼 눌리면 LED2를 키거나 끈다 } } } while문은 계속해서 반복됩니다. 반복 되는 동안 LED1은 0.5초마다 깜빡거리게 됩니다. CPU는 while문 안에서 LED1을 0.5초마다 깜빡거리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while문 안에서는 이런 상황이 펼쳐지.. 2023. 2. 17.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의 이해 임베디드 시스템의 정의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조합된 장치 내 내장형 전자시스템입니다. 장치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내장형(Embedded)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의 응용 분야는 전자레인지, 밥솥, 냉장고를 비롯한 가전제품 그리고 차량 및 항공기에 이르기까지 정말정말 많은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알아보기 위해 컴퓨터와 한번 비교해보겠습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범용 컴퓨터 시스템 CPU 성능 저사양 고사양 사용 목적 특정 한 가지 목적 다양함 요구 사항 소형화, 저전력, 경량화 등 - 개발 환경 크로스 개발 PC 환경 주변 장치 제한적 마우스, 모니터, 스피커 등 다양함 운영 체제 Linux, RTOS, 경우에 따라 없을 수도 Windows, Li.. 2023. 2. 6. 이전 1 다음